호이스팅이란 변수의 선언이 생성될 때나 초기화할 때가 아닌 가장 최상단에서 선언된다는 것이다. ex) { console.log(num); // undefined var num = 10; console.log(num); // 10 }, { var num; console.log(num); // undefined num = 10; console.log(num); // 10 } 위 두 예제는 호이스팅이 적용되기 때문에 에러를 출력하는 것 대신 undefined와 10을 출력한다.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변수의 선언이 최상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인데 함수 안에서도 변수의 선언이 함수 최상단에서 선언이 이루어진다. ex) function excemple { console.log(num); // undefin..
Stack : 먼저 들어온게 나중에 나간다. (후입선출, Last In First Out, LIFO) - 예로 물건을 쌓아올린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. 쌓아올린 물건들 중 원하는 물건을 꺼내기위해서는 가장 마지막에 올린 물건부터 차례대로 꺼내야 하기 때문이다. Queue : 먼저 들어온게 먼저 나간다. (선입선출, First In First Out, FIFO) - 예로 사람들이 줄을 서있는것을 생각하면 된다. 물론 새치기가 없어야 된다는 조건이 있지만 줄을 서있다는 것은 먼저온 사람이 먼저 일을 처리한 후 먼저 가기 때문이다.
이번에 spring boot 1.4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 QueryDSL을 버전업을 하게 되었는데 이전에 사용하던 패키지는 'com.mysema.querydsl' 이고 버전은 3.7.4 버전이 마지막 버전이었다. 그래서 찾아보니 패키지명이 'com.mysema.querydsl' 에서 'com.querydsl' 로 수정이 되었다는 내용이다. 그리고 수정하면서 보니 JPAQuery Class에 Generic을 사용해야 하고 메소드 중에 list()와 uniqueResult()가 사라져 fetch()와 fetchFirst()를 사용했다.